자동차 엔진 오일을 교체할 때, API, ACEA, SAE, 합성유, 광유 등 다양한 오일 용어와 종류 때문에 혼란스러우신가요?
직접 엔진 오일을 구매한 후 정비소에서 공임비를 지불하고 교체하는 경우라면, 내 차에 맞는 엔진 오일을 정확하게 선택하는 것은 더욱 더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엔진 오일의 역할과 종류, 선택 방법까지 최적화된 정보를 제공해 드립니다.
글의 순서
자동차 엔진 오일이란?
자동차 엔진 오일은 자동차 엔진 내부에서 마찰을 줄이고, 열을 방출하며,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윤활유입니다. 오일을 제때 교체하지 않으면 엔진 성능 저하, 연비 감소, 과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윤활 작용 – 금속 간 마찰을 줄여 부품 마모 방지
- 냉각 기능 – 엔진 내 마찰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과열방지
- 방청 효과 – 부식 방지 및 엔진 보호
- 밀봉 효과 –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 밀봉 유지하여, 연소 효율 향상
- 세정 기능 – 엔진 내부 오염 물질과 찌꺼기 제거
이러한 기능 덕분에 엔진 오일이 부족하거나 오래된 오일을 사용하면 엔진 성능이 저하되고 연비도 나빠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 차에 맞는 엔진 오일을 정확히 선택하고, 적절한 시기에 교체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동차 엔진 오일 특성

자동차 엔진 오일은 위에 언급한 기능을 충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추어야, 좋은 엔진 오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첫째, 우수한 윤활성이 필요합니다.
자동차 엔진은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의 강한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우수한 윤활성이 요구 됩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마찰을 최소화하고 부드러운 움직임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합니다.
둘째, 열에 대한 저항성이 뛰어나야 합니다.
엔진이 작동하면 내부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데, 오일이 높은 열을 받으면 점도가 변할 수 있습니다. 점도가 변하면 윤활 기능이 약해지고, 엔진 보호 성능이 떨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려면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점도를 유지할 수 있는 엔진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셋째, 산화에 강해야 합니다.
엔진 내부는 높은 온도와 공기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서 엔진 오일이 산화되어 변질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점성이 높아지고 찌꺼기가 쌓여 엔진 내부를 오염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막기 위해 엔진 오일에는 산화 방지제와 청정 분산제가 포함되어야 하며, 오일 자체도 고도로 정제된 윤활유 성분으로 만들어져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기포가 쉽게 발생하지 않아야 합니다.
엔진이 작동하면서 오일이 순환할 때 마찰로 인해 기포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 기포가 많아지면 오일의 윤활 기능이 저하되고, 엔진 부품이 제대로 보호되지 않을 가능성이 커집니다.
따라서 기포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안정적인 엔진 오일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적으로, 좋은 엔진 오일은 윤활성, 내열성, 산화 저항성, 기포 억제 능력을 갖춰야 합니다.
이러한 특성을 갖춘 엔진 오일을 사용하면 엔진 성능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부품의 수명을 연장하고 연비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엔진 오일 종류 – 광유 vs 합성유
엔진 오일은 사용되는 기유(Base Oil) 에 따라 광유와 합성유로 나뉩니다.
윤활기유는 베이스오일이라고 하는데 전체 80 ~ 90%를 구성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첨가제라는 윤활유의 점도와 특성을 위한 화학물질을 사용합니다. 어떤 윤활유가 좋은 윤활유인지는 베이스오일과 첨가제 성분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때 윤활기유는 제조방법에 따라 광유와 합성유로 구분됩니다.

구분 | 광유 (Mineral Oil) | 합성유 (Synthetic Oil) |
---|---|---|
윤활기유 | 원유 정제 과정에서 추출 | 화학적 합성으로 제조 |
특징 | 저렴한 가격, 성능 저하 | 고온·저온 안정성 우수 |
내구성 | 열에 약해 변질 빠름 | 수명이 길고 안정적 |
주행거리 | 5,000 ~ 7,000 Km | 7,000 ~ 15,000 Km |
추천 차량 | 일반적인 승용차, 저출력 차량 | 고성능 엔진 차량, 장거리 운행 차량 |
합성유는 엔진 보호 성능이 뛰어나지만, 광유보다 가격이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 운전 습관과 차량 성능을 고려하여 적절한 오일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엔진오일에 사용되는 기유는 그룹 1에서 그룹 5까지 나누어집니다. 엔진오일이 어떤 기유를 사용했는지에 따라서 오일의 성능이나 가격이 달라집니다. 이 그룹 중 그룹 1과 그룹 2는 광유로 분류하고 점도지수가 120을 초과하는 그룹 3부터는 합성유와 큰 차이는 없어서 보급형 순정오일로 많이 사용됩니다.
그룹 4는 Poly Alpha Olefin의 약어인 PAO로 불리는 고급 합성유를 뜻하는데 점도 지수가 높고 저온 특성이 좋으면 불순물 또한 없습니다.
자동차 엔진 오일 등급 – API, ACEA, SAE
자동차 엔진 오일의 품질과 성능은 여러 기준에 따라 등급이 나뉩니다.
API 등급 (미국석유협회)
API 등급은 미국석유협회(American Petroleum Institute) 에서 정한 오일 성능 기준입니다. 오일의 내구성이나 촉매영향 등을 평가한 규격입니다.

- S 계열 (가솔린 엔진용): 최신 등급 → SP (최신) > SN > SM > SL
- C 계열 (디젤 엔진용): 최신 등급 → CK (최신) > CJ > CI > CH
예시: API SP 오일
가솔린 엔진에서 최신 기술을 반영한 오일로, 엔진 보호 성능과 연비 개선 효과가 뛰어납니다.
ACEA 등급 (유럽자동차제조협회)
ACEA(유럽자동차제조협회) 기준은 유럽 자동차 제조사들이 요구하는 높은 품질의 오일을 평가하는 등급입니다. 이 역시 가솔린, 디젤, 상용차 3개 카테고리 엔진 오일의 품질 및 성능을 규정하기 위해 제정한 규격이며, 내구성, 연비, 환경보호 등을 규정하는데 API보다 더 엄격한 규정을 요구하는 편입니다.
구분 | 설명 |
---|---|
A/B 등급 | 가솔린 및 디젤 차량용 |
A1/B1 | 연비 개선형, 저마찰 오일 |
A3/B4 | 고성능 엔진용, 고온 환경에서도 안정적 |
A5/B5 | 연비 개선 및 내구성 유지 |
C 등급 | 배출가스 저감장치(DPF, GPF) 장착 차량용 |
C1~C5 | 환경 보호 및 배출가스 감소 |
ACEA 등급이 높은 오일일수록 엔진 보호 성능과 연비가 뛰어납니다.
SAE 점도 등급
SAE는 미국자동차기술자협회(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에서 정의한 엔진 오일의 점도(VISCOSITY) 지수입니다. SAE는 온도에 따른 오일의 유동성을 설명하는데, 앞의 숫자가 낮을수록 저온 성능 및 시동이 우수하며, 뒤의 숫자가 높을수록 고온에서 안정적입니다.

- 예시: SAE 5W-30
- “5W” → 저온 점도 (숫자가 낮을수록 겨울철 시동이 쉬움)
- “30” → 고온 점도 (숫자가 높을수록 고온에서 점도 유지력 우수)
점도 선택 방법
- 5W-30: 일반적인 날씨에서 가장 많이 사용
- 0W-20: 저온 시동성이 뛰어나고 연비 향상
- 5W-40: 고온에서도 강한 내구성 제공
국내에서는 5W-30이 가장 많이 사용되며, 디젤 및 하이브리드 차량에는 0W-30이 추천됩니다.
자동차 브랜드별 엔진 오일 규격
유럽 자동차 제조사들은 자체적인 오일 규격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벤츠, BMW, 아우디(폭스바겐)의 대표적인 규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벤츠 (Mercedes-Benz)
- MB 229.3, MB 229.5 (고성능 엔진용)
- MB 229.51 (DPF 장착 차량용)
BMW
- BMW LL-01 (가솔린 엔진용)
- BMW LL-04 (디젤·가솔린 겸용, 배출가스 저감장치 보호)
폭스바겐 (Volkswagen)
- VW 504.00 (고성능 가솔린 엔진용)
- VW 507.00 (디젤 엔진 DPF 장착 차량용)
유럽 브랜드 차량을 운행 중이라면,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자동차 엔진 오일 선택 방법
내 차에 맞는 엔진 오일을 선택하는 방법은 차량 매뉴얼에서 제시하는 API 등급(SN, SP 등) 또는 ACEA 등급(A3/B3 등)과 같은 규정에 따르는 것입니다.
또한, 차량에 적합한 점도(예: 5W-30, 0W-20)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차량 매뉴얼 확인
- 자동차 제조사 매뉴얼에 명시된 API 등급, ACEA 등급, SAE 점도 등급을 확인하여 선택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운전 환경 고려
- 도심 주행 & 연비 중시 → 0W-20, 5W-20
- 고속도로 주행 & 엔진 보호 중시 → 5W-30, 5W-40
- 한겨울 추운 지역 거주 → 0W 계열 오일 추천
예산과 성능 고려
- 광유: 경제적이지만 교체 주기가 짧음
- 합성유: 가격이 비싸지만 내구성 우수하고, 광유에 비해 더 많은 주행거리 운행가능
우리나라의 도로 및 기후조건에서는 가솔린 차량의 경우 5W-20 또는 5W-30을 많이 사용하고, 디젤 및 하이브리드 차량은 저온 시동성과 연비를 위해 0W-30가 추천됩니다.
마무리
자동차 엔진 오일은 단순한 소모품이 아니라 차량 성능과 내구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핵심 요소입니다. 각자 차량의 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오일을 선택하는 효율적인 오일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 자동차 상식에 대한 참고 글